그레이들에 위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준다. 버전은 하드코딩해도 되지만 아래처럼 사용한다.
def queryDslVersion = '5.0.0'
Querydsl은 어노테이션 프로세서가 엔티티(Entity) 코드를 토대로 Q도메인 클래스를 생성해주는 방식이다. 따라서 컴파일을 해야만 Q도메인 객체를 얻어 사용할 수 있다.
compileJava 태스크를 수행하면 소스코드가 [build] - [classes]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시키고 나야만 비로소 Q도메인 객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자신의 src 디렉토리 내에 Q도메인 객체 코드를 가져올 수도 있는데, 난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다. 그래서 어노테이션 프로세서에 등록하여 Q도메인 객체를 import 할 수 있는 정도로 만족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지 의존성을 추가하고 컴파일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IT 공부 > 자바와 웹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 영속성 컨텍스트와 지연 로딩(LAZY) (0) | 2024.01.24 |
---|---|
[swagger] - 스프링부트 3.x 이상 사용 시 swagger 설정법 (0) | 2024.01.22 |
[Log4j2] - MyBatis 데이터베이스 관련 팁 (feat. slf4j Binding) (0) | 2024.01.20 |
[마이바티스] - 동적 쿼리 아주 간단한 예시 (0) | 2024.01.20 |
[Model Mapper] - Model Mapper 라이브러리 및 DTO, VO가 분리되는 이유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