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11

미국 초대 재무부장관,알렉산더 밀턴 Men give me credit for some genius. All the genius I have lies in this; when I have a subject in hand, I study it profoundly. Day and night it is before me.My mind becomes pervaded with it. Then the effort that I have made is what people are pleased to call the fruit of genius. It is the fruit of labor and thought.사람들은 나를 천재라 부른다. 모든 천재에 대한 내 생각은 다음과 같다. 어떠한 사안을 다루어야 할 때면 이를 깊게 공부한다. 낮이고 밤이고 쉴새 .. 2024. 12. 17.
[게임 업계에 대한 일침] Swen Vincke Roasts The Gaming Industry Speech for Game of the Year Award 여러분이 여기 3시간째 앉아 계신 것 압니다. 근데 제가 작년에 아껴둔 연설 시간이 좀 있어서요. (작년 GOTY 수상 소감을 30초 만에 끝내라고 압박 받음) 저는 오늘 수상받을 올해의 게임이 뭔지 가장 먼저 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년, 이듬해, 또 그다음 해의 우승작도 알고 있죠. 어떻게 아는 걸까요? 예언가가 말해주더군요. 변화가 올 거라고 했죠.  생각보다 현대적인 사람이라 NDA를 쓰게 됐지만, 여러분은 믿을 만하니 비밀을 지켜주실 거라 믿습니다.  예언가가 말하길, 2025년 올해의 게임은 여기 이 자리로 올라오는 법을 알게된 스튜디오가 탈 거라는 군요. 그 비법은 어처구니없을 만큼 단순하지만, 자주 잊혀지곤 하죠.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자들이 이 자리에 올 겁니다. 이전에.. 2024. 12. 15.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 - 프로그래밍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 주의: 의역 있음 Why programming is hard In the office chill-zone otherwise known as the weeks around Christmas and New Year I was determined to crank out a bunch of high-quality… medium.com A computer is an idiot box. It can execute only the simplest of instructions natively, like: Add 42 to this number. (컴퓨터는 멍청한 상자다. 이 기계는 오직 "이 변수에 42를 더하라."와 같은 단순한 명령만을 이해한다.) Because of this limitation, every r.. 2024. 3. 13.
[티모시 골웨이의 이너 게임] -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가! 이너게임이너게임이란? 인간의 삶에서 학습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이다. 우리는 학교나 학원에서, 교사나 코치로부터 바른 태도, 바른 자세, 바른 행동을 배운다. 과연 그런 것들을 배우고 익혀야 할까? 이 책의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단언한다. 인간은 그를 잘 할 수 있는 지혜와 능력을 타고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테니스를 지도할 때 자신이 보여주는 특정한 자세와 행동을 따르도록 강요하지 않았다. 그는 각 개인에게 잠재되어 있는 그 자신만의 리듬과 기술을 끌어낼 수 있는 코칭 방법을 찾아냈고 이를 ‘이너게임 원리’라고 이름 지었다. 이너게임 원리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다. 저자는 자신이 발견한 이너게임 원리를 ‘Inner Game of Tennis’ 라는 책으로 세상에 알렸다. 그 책은 뜻밖에도 베스트 셀러 .. 2024. 3. 8.
[피드백] - 실제 서비스가 아니라 서비스화부터 신경쓰자 1. 라는 책을 흥미롭게 읽은 기억이 있다. 이 책의 초반에는 개발자의 등급을(?) 분류하는 기준이 저자(우쥔)에 의해 제공되어 있다. 저자는 자연어 처리 전문가로 구글에서 일하면서 겪은 개발자들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한다. 5등급 :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소프트웨어를 온전히 완성할 수 있다. 4등급 : 최신식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다른 사람들을 이끌어 영향력 있는 개발자로 성장시킬 수 있다. 3등급 : 독립적으로 제품을 설계하고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 2등급 : 중요한 컴퓨터 이론과 실천에 있어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1등급 : 산업을 개척하고 이론적 기반을 만들 수 있다. 참고로 저자가 생각하는 7등급의 기준은 우수한 대학의 컴퓨터 공학과를 전공한 수준이다... 2024. 1. 25.
과잉 학습의 중요성 박문호 박사가 말했듯이, 기본적인 데이터가 머리에 있어야 감정이 생기고, 그게 자신감으로 이어진다. 지금 내가 해야할 것은, 최대한 머릿속에 데이터를 넣고, 그것을 자주 꺼내보면서 방대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자신감을 얻는 것이다. 머릿속에 디테일을 넣지 못하면 평생을 "이 기술 본 적 있는데.." 수준에 그치게 된다. 아주 위험한 일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과잉 체화다. 라는 책을 보면 한 사람이 제대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특정 영역에 대한 과잉 학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영어로 말을 하려면 먼저 알파벳은 무의식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완전히 체화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과잉 학습이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 기술을 과잉 체화시켜야만 다음 내용을 정신적으로 수용할 수 .. 2024. 1. 22.
대단하고 화려하고 멋진 것이 아니어도 괜찮다. 출처 : 10년간 꾸준히 자동수익을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했던 코딩실력 (youtube.com) 제가 이 성과를 내게 됐던 이 앱은 사용자간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간단한 기능만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이었습니다. 저는 주로 웹 개발을 하던 사람이었던 터라 안드로이드 앱 개발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배워가면서 빠르게 상당히 미숙한 수준으로 앱을 완성을 시켰었죠. 당시의 안드로이드 버전에서는 에러가 나는 것까지는 아니고,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앱이 멎어버리는 그런 현상이 있었습니다. ANR이라고 부르는 현상인데요. 당시에는 안드로이드에 이런 현상이 있었다는 것조차 모르고 그냥 아무렇게나 앱을 만들었던 겁니다. 그러다보니까 앱이 작동 중에 네트워크 통신하면 그 동안에는 굳기도 하고 그랬었죠. 그런.. 2024. 1. 10.
Don't practice, do something! (from reddit) Studying algorithms and using LeetCode is really just dancing around the problem. 4년 동안 job을 구하지 못한 사람에게 해준 한 reddit 유저의 뼈 때리는 조언. 이전에 포스팅했던 사례들과 맥을 같이 하는 조언이다. 자료구조나 알고리즘도 물론 중요하지만, 결국 개발자는 무엇이라도 개발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것.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을 자꾸 회피한다면 그저 문제 근처에서 춤이나 추고 있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We need someone who could actually build software even if they didn't know the technology or processes that we used It doesn't .. 2024. 1. 10.
[주말 피드백] - 핵심 가치에 대한 생각과 공부 피드백 및 계획 2023년에 대한 공부 피드백, 내가 깊이 반성하는 점들.. (tistory.com) 2023년에 대한 공부 피드백, 내가 깊이 반성하는 점들.. 2023년을 끝으로 한 12월 31일 주말.. 지금껏 내가 잘못 생각하고 행동한 모든 것들을 되돌아보고 자료를 수집했다.. 그리고 2024년의 나를 위해 길게나마 기록을 이렇게 남겨보았다. #. 내가 잘못한 linocraft.tistory.com 1. 개발자 취업의 핵심 가치 지금까지 나는 개발 공부를 크게 잘못해왔다고 생각한다. 무작정 지식을 쌓고, 원리를 파악하는데만 집착한 것 같다. 궁극적으로 개발자가 된다는 것은, 소프트웨어 개발로 돈을 버는 집단의 일원이 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그냥 학생, 연구생 정도로 스스로를 포지셔닝해왔다. 모르는 것이 있.. 2024.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