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unt란 외부 저장 장치를 다루게 하는 리눅스만의 특별한 방식이다.
▷ Windows는 리눅스의 마운트와 조금 다르게 동작하는데, C:/ D:/ 이런 식으로 아예 저장 장치만의 별도의 독립된 구획이 따로 있는 것처럼 보인다.
▷ 그러나 리눅스는 외부 저장 장치를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해 어떤 위치의 디렉터리에 통합시켜버린다.
▷ 예를 들어, USB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FAT 형식)을 읽어서 특정 위치 (/mnt/usb) 디렉터리에 통합시켜버리는 것이다.
▷ 이렇게 하면 리눅스 사용자 입장에서는 외부 저장 장치 내부의 파일들을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하는 디렉터리 시스템의 일부라고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이다. 마치 하드디스크나 USB 안의 파일들이 원래 그 디렉터리에 있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렇게 리눅스는 모든 파일 저장 장치를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하는 하나의 트리 구조 안에 통합시킨다. 이렇게 데이터 접근에 있어 일관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것이 mount 시스템!
▷ 마운트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리눅스 배포판의 USB 디렉터리인 /mnt/usb 안에는 아무것도 없다.
'IT 공부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브러리와 링커 (2) | 2024.12.21 |
---|---|
[64비트 멀티코어 OS 원리와 구조 1] - 목차 기준으로 흐름 요약 (0) | 2024.12.18 |
[2024.11.21] - IRETQ 명령어 새롭게 알게 된 내용 정리 (3) | 2024.11.21 |
OS 배운거 정리 2024.10.29 - rex, 오퍼랜드 사이즈 접두사 개념 (0) | 2024.10.29 |
[OS]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매우 중요) (0)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