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봤던 스프링 기술을 지금 한 번 보고 있는데,
신기하게도 옛날과는 달리 술술 잘 읽힌다.
특히 기술 간 경계가 아주 명확하게 선이 보인다.
각종 라이브러리, 빌드툴, IDE, 등 각 기술들이 서로 어떻게 연계되는지 보인다.
각 기술 사이의 접합부가 무엇인지 보이고,
따라서 기술을 뺏다 넣었다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때문에 각 기술이 정확하게 어떤 절차를 거쳐 적용이 되고,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지 느낌이 온다.
왜 빨리 깨우치질 못했을까 안타까운 것도 있지만,
그래도 공부하면서 후퇴는 하지 않았다는 점에 뿌듯함을 느끼자.
'IT 공부 > 이런 저런 생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연하고 기민하게 공부하기 (0) | 2023.12.27 |
---|---|
공부 불안 (0) | 2023.11.28 |
개발 공부를 하면서 느낀 개발 공부의 특징 (0) | 2023.11.21 |
객체지향, 디자인패턴, 스프링 프레임워크... (0) | 2023.11.13 |
개발 공부의 목적 (0)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