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프로세스1 [OS] - 운영체제의 멀티 쓰레드 스케쥴링 및 개수 제약 1. 커널 쓰레드와 사용자 쓰레드 차이 과거 오래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멀티쓰레드를 지원해주지 않았고 멀티프로세스만을 지원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멀티쓰레드를 지원해주는 OS가 생겨나면서 커널이 쓰레드 단위를 인식하고 직접 관리나 스케쥴링을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해줬다. 이것이 커널 쓰레드다. 물론 커널 쓰레드를 거치지 않고도 쓰레드 기능을 구현해볼 수는 있다. 이것이 사용자 쓰레드다. 하지만 사용자 쓰레드는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직접 구현해보거나, 혹은 쓰레드를 관리해주는 라이브러리를 가져와 사용해야 한다. 현대 운영체제는 쓰레드와 프로세스를 모두 관리해주기 때문에 사용자 공간 자체에서 직접 쓰레드를 구현해 사용하는 경우는 없는 편이다. 게다가 사용자 쓰레드를 커널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2023. 12. 27. 이전 1 다음